320x100

2025년 종합부동산세 개정, 실거주자에겐 완화… 다주택자는 여전히 부담
2025년 종합부동산세(종부세) 개정안이 시행되면서, 1주택 실거주자에 대한 세금 부담은 다소 줄어들 전망입니다. 반면, 다주택자와 법인 보유 주택에 대한 과세 기준은 그대로 유지되거나 일부 강화되어, 자산 분산 또는 전략적 매각 검토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공정시장가액비율: 1주택 실거주자는 80% → 70%로 완화
- 고령자 공제 확대: 최대 80%까지 적용 (보유 기간 조건 병행)
- 임대사업자 세 감면 축소: 합산배제 요건 강화
- 다주택자 과세 기준 유지: 중과세율 + 세부담 상한 300% 적용
👉 참고: 국세청 홈페이지에서 종부세 자동 계산 기능을 제공하고 있으니, 미리 시뮬레이션 해보시길 추천합니다.
💡 종부세는 '한 채만 있어도' 과세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공시가격이 9억 원(1세대 1주택 기준)을 초과한다면 반드시 확인이 필요합니다.
재산세 고지서, 6월 중순부터 발송… 놓치면 가산세 부과!
6월이 되면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재산세 고지서를 순차적으로 발송합니다. 2025년 기준, 재산세 고지서는 6월 10일 전후에 우편 또는 전자문서 형태로 수령할 수 있으며, 납부 마감은 7월 31일까지입니다.- 납부 기준일: 2025년 6월 1일 현재 부동산 보유자
- 1차 고지서 발송: 6월 10일 ~ 6월 15일
- 납부 마감일: 7월 31일
- 납부 방법: 위택스, 지로, 인터넷 뱅킹, 카카오페이 등
💡 고지서가 도착하지 않아도 '모르고 안 낸 것'은 면책 사유가 아닙니다! 전자고지 수신자, 공동명의자는 직접 확인해야 합니다.
👉 재산세 조회 바로가기: 위택스 지방세 납부 시스템
1주택자 vs 다주택자, 세금 전략 달라져야
2025년 부동산 세금 정책의 핵심은 ‘실거주자 보호’입니다. 다만, 다주택자는 여전히 중과 기준이 유지되기 때문에 보유 전략에 변화가 필요합니다.- 1주택 실거주자: 장기보유+고령자 공제로 세액 대폭 절감 가능
- 다주택자: 과세 기준·세율 유지 → 절세 목적 매도 검토 필요
- 법인 보유자: 종부세 과세 강화 대상 지속
✅ 올해 세금 전략은 6월 안에 수립해야 가산세 없이 대응할 수 있습니다.
📌 참고 기사: 정부 종합부동산세 개정 해설 보기
마무리 요약
2025년 종부세 개정안은 실거주자에게 다소 유리해졌지만, 모든 보유자에게 해당되는 건 아닙니다. 재산세 역시 놓치면 가산세가 부과될 수 있으므로, 고지서를 반드시 확인하고 납부 기한을 엄수해야 합니다.🎯 세금은 '몰라서 못 낸다'는 말이 통하지 않습니다. 올해는 미리 확인하고, 필요 시 전문가 상담까지 고려해보세요!
2025 종합부동산세, 재산세 고지서, 부동산 세금, 종부세 개정, 위택스 납부, 1주택자 혜택, 다주택자 세금, 부동산 정책 변화, 국세청, 고지서 발급 일정300x250
'유용한정보 >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하반기 부동산 정책, 핵심은 '실수요자 보호와 공급 확대 (0) | 2025.05.13 |
---|---|
6월 부동산,하반기.부동산정책,대책 (2) | 2025.05.13 |